Headless 상태는 브라우저를 숨긴 상태다.
이 상태에서 xPath를 찾을 수 없던 이유는 브라우저 해상도 때문이다.
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는 해상도에 따라 반응형으로 UI 구조가 바뀐다.
디버깅 할 때는 분명 Headless를 해제하고 눈으로 직접 확인했기 때문에 사이트 해상도가 높은편.
실제 사용할 때는 봇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다.
그렇기 때문에 옵션에서
chrome_options.add_argument('--window-size=1920,1080')
위와 같이 Headless 상태여도,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사이트 크기로 맞춰두는 게 내가 디버깅할 때 찾고자 한 xPath를 올바르게 찾아가게 도와준다.
C# Log4Net 사용법과 디테일 #이거하나로끝낸다 (0) | 2023.11.17 |
---|---|
이클립스 기반 STS에서 코드 실시간 반영 및 적용하기 (0) | 2023.08.15 |
STS - MySQL8 접속 Properties (0) | 2023.08.15 |
STS - No default constructor for entity (0) | 2023.08.15 |
Python 3.11 Telegram Bot 사용법 send_message (0) | 2023.08.15 |